수출입통관 실무이야기/통관실무

해상화물 적하목록의 이해와 번호체계

dailytour 2020. 4. 8. 17:37
반응형

 

 

 무역업무를 접하게 되는 분들은 적하목록이란 생소한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한자로는 '積荷目錄'으로서 쌓은(적재한) 짐(화물)의 목록이라고 할 수 있고, 영어로는 'Cargo Manifest'로서 화물을 분명히 나타낸 목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積 : 쌓다 적, 荷:짐 하, Cargo:화물, Manifest:나타내다, 분명해지다)


 관세법에서는 적하목록을 별도로 정의하지 않고 있으나 「보세화물 입출항 하선 하기 및 적재에 관한 고시」의 정의에 따르면, 적하목록 작성요령에 따라 선사가 Master B/L의 내역을 기재한 선박의 화물적재목록을 말하며, 화물운송주선업자가 House B/L의 내역을 기재한 경우에는 혼재화물적하목록이라고 합니다.

 


 

적하목록 제출의무자는?

 작성된 적하목록을 취합하여 입항예정지 세관장에게 제출하여야 할 자로 외국무역선을 운항하는 선박회사(대리점을 포함)를 말합니다. 선사, 항공사 등 운수기관은 적하목록 등 자료제출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여야 합니다.

 

적하목록 작성책임자

 적하목록의 작성과 제출은 업체부호를 신고한 선사 또는 항공사나 「화물운송주선업자 등록 및 관리에 관한 고시」에 따라 업체부호를 등록한 화물운송주선업자가 하여야 합니다. 통상 선하증권을 발행하는 선사의 국내 법인(본사, 지사), 대리인(파트너)을 말합니다.

(1) 수출입물품을 집하·운송하는 운항선사
(2) 공동배선의 경우에는 선박을 용선한 선박회사(대리점을 포함)
(3) 혼재화물은 화물운송주선업자(대리점 포함)

(예시1) A선사 미국지사가 발행한 B/L에 따른 적하목록 → A선사 국내지사 작성
(예시2) 미국 화물운송주선업자가 발행한 House B/L에 따른 적하목록 → 미국 화물운송주선업자의 국내 파트너 화물운송주선업자가 작성

 

화물관리번호 체계

 MRN(적하목록관리번호 : Manifest Reference No.)에 MSN(Master BL 일련번호 : Master BL Sequence No.)과 HS(House BL 일련번호 : Master BL Sequence No.)를 조합한 번호로 적하목록 제출, 하선신고, 보세구역 반출입신고, 보세운송신고, 수입신고 등 모든 세관절차에서 핵심 Keyword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체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RN MSN HSN
18ABCDA123I 0089 0001 15 or 19자리

< 적하목록관리번호 = MRN >

1 8 A B C D A 1 2 3 I
제출연도(숫자2) 선사부호(영문 4)
항공사부호(영문 2)
일련번호
(영문 및 숫자 4)
입항 I
출항 E

 

적하목록 제출시기는?

 입항적하목록과 출항적하목록의 제출시기로 구분되며, 입항적하목록은 원거리인 경우 입항24시간전 근거리인 경우 입항전입니다. 출항적하목록은 원거리인 경우 적재24시간전이며, 근거리인 경우 적재30분전입니다. 환적화물의 경우 출항익일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