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__Etc__

해외직구시 필요한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방법

by dailytour 2021. 2. 4.
반응형

 

소액 목록통관 시에도 개인통관고유부호 의무적 제출 필요

 

관세청은 해외 직구 물품에 대한 통관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20년 12월 1일부터 목록통관 시에도 개인통관고유부호 제출이 의무화 하였습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는 개인 물품 수입신고 시 수하인을 식별하기 위해 쓰는 부호로 2011년 처음 도입했으며, 2014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이후 배송업체 등에서 주민등록번호 수집 근거가 없어지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활성화됐습니다. 

 목록통관 

국내 거주자가 구입한 자가사용 물품 중 가격이 미화 $150(미국발 $200) 이하에 해당하는 물품에 대해 특송업체가 세관장에게 통관목록을 제출함으로써 구매자의 수입신고를 생략해주는 제도이며,  관세 등 세금이 면제.

 

관세청은 19년 11월부터 목록통관 시 수하인의 개인통관고유부호 또는 생년월일 둘 중 하나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했는데, 20년 10월 기준 1년 정도의 데이터를 보니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건수가 1,637만여 건에 달하고 제출율도 81%가 넘어 개인통관고유부호 제도가 정착된 것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생년월일 정보를 제출할 수 있는 점을 악용해 일부 구매자는 허위 정보를 제출하기도 했으며, 수하인을 특정할 수 없어 정확한 통계관리가 어려웠습니다. 또한 목록통관 제도를 악용해 판매용 물품을 자가사용 물품으로 가장해 면세통관하거나, 마약류 등 불법·위해물품을 반입하는 사례도 많았다고 하네요.

 

이에 관세청은 20년 12월부터 건전한 전자상거래 질서를 확립하고, 통관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목록통관 시 개인통관고유부호 제출을 의무화함으로써 생년월일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입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 의무화'를 통해 통관단계에서 수하인을 정확하게 특정하여 신속통관 및 통관관리 강화, 정확한 통계관리가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방법

관세청 홈페이지(www.customs.go.kr)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본인이 구매한 물품의 통관진행정보와 과거 통관내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익스플로러 이외 크롬・사파리・파이어폭스사용,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사이트(p.customs.go.kr)에 접속

본인인증을 위해, ‘공인인증서’‘휴대폰 본인인증’ 중 원하는 인증 수단 선택하여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확인’ 버튼 선택

 

(공통)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처음 발급 사용자신규발급 버튼을 선택, 기 발급 사용자조회/재발급에서 핸드폰번호 입력 후 ‘확인’ 버튼 선택

본인인증정상처리되면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신청화면이 나오고 본인 인증시 입력한 개인정보 외에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을 추가 입력하고 등록 버튼 선택

 

통관고유부호등록시 입력한 휴대폰번호와 연결다른 개인통관고유부호부호의 전화번호를 선택삭제

 

⑥번을 등록하면 신청정보가 DB에 저장된 후,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시스템에서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자동 발급

 

(조회/재발급시) ②번의 핸드폰번호 항목란에 본인의 개인정보입력하고, ‘확인’ 버튼 선택하면 휴대폰 개통시 등록된 정보
비교하여, 본인 확인후, 등록된 휴대폰 번호인증번호 전송

 

인증번호 입력 후 인증 버튼 선택 시 기존에 발급되었던 내용이 조회 가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