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실무 이야기/BASIC 무역실무8 간접수출도 직접수출과 같이 수출실적 인정가능 '수출실적'이란 대외 무역법 시행령’에 따라, 산업 통상 자원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수출 통관액, 입금액, 가득액과 수출에 제공되는 외화 획득용 원료・기재 따위의 국내 공급액을 말합니다. (대외무역법 시행령 제2조 11)이런 수출실적은 무역업체에 있어 정부 및 공공기관 등으로부터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무역업체에서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지표입니다. 한 예로 무역의 날이라고 해서 수출을 장려하고 기업인들의 사기를 북돋워 주기 위해 매년 11월 30일에 매출이 큰 기업체에 표창을 합니다. 이러한 수출실적은 수출실적증명서로 증명이며, 국내 수출업체의 일정기간 동안의 수출금액의 객관적인 근거가 됩니다. 수출실적증명서는 그 자체로 수출실적이 되며 자율관리기업 선정, .. 2021. 1. 13. 쉬핑마크(Shipping Mark) 표시 방법 안녕하세요. Cusbro 입니다. LCL 화물을 수출입 하는 경우 보통 포워더 등에서 쉬핑마크 표시가 되어 있는지와 내용을 알려달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용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의 경우 뭘 달라고 하는건지 당황하는 경우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쉬핑마크란 쉽게 얘기해서 화물의 내용물과 화물을 업체별로 구별하기 위해 박스 겉면에 정보를 부착하거나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세창고에서 수많은 다른 화주들과의 물건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이런 표시가 붙어 있어야 명확하게 구분되어 배달사고가 나지 않겠죠? 쉬핑마크의 작성방법은 딱히 정해진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업체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화물을 구분하기 쉽도록 업체명(수출입 회사), 박스수량(전체박스 수량 중 몇번 박스), 제.. 2020. 12. 18. 디머리지(demurrage)와 디텐션(detention) 프리타임(Free Time) 이란? 안녕하세요. cusbro 입니다. 수입물품을 해상 컨테이너로 이용시 화주들이 마주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디머리지, 디텐션, 프리타임 등 그들만의 리그에서 통용되는 단어이지요. 수입시 컨테이너 화물의 비용발생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되니 해당업무를 담당하시는 분들은 필히 기억하고 이해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디머리지(demurrage) 선박이 항구에 도착 후 CY터미널에 컨테이너를 내려놓게 되는데 이때 컨테이너가 반입되는 순간부터 발생하는 컨테이너 보관에 대한 체화료입니다. 이 체화료는 기본적으로 선사와 약정한 프리타임*을 넘는 순간부터 발생합니다. 즉 CY에 머물수 있는 보장된 기간을 경과하는 경우 경과일수당 일정금액을 .. 2020. 12. 4. 국제거래에서 무역대금 결제방식은 어떤걸로 선택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cusbro 입니다. 대금결제란 매도인의 물품인도에 대한 매수인의 대금지급 과정을 의미하며, 국제 상거래에서 이러한 무역대금을 안전하게 회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즉, 무역대금결제란 국제무역거래에서 대금지불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무역거래 방식의 다양화와 함께 대금결제 방식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금결제방식은 거래상대방의 신용상태와 무역당사자간의 관계 등에 따라 적절한 결제방식을 채택하는데, 일반적으로 신용장과 D/A 결제방식은 무역 초기단계에서 많이 사용되며, D/P 결제방식은 본지사간 거래나 당사자간의 신뢰관계 등을 고려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대금결제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역대금 결제방식의 종류는 크게 송.. 2020. 11. 19. 20피트 40피트 FCL 컨테이너에는 물건이 얼마나 들어갈까요? 일전에 설명드렸던 FCL 화물 즉 컨테이너에는 얼마나 물건을 실을 수 있을까요? 국제해상운송에서는 컨테이너의 경우 규격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대부분의 컨테이너들이 약간의 오차외에는 거의 동일한 크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무에서 공산품을 수출입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컨테이너는 20피트, 40피트, 40피트 HQ(하이큐빅)일 것입니다. 40피트는 20피트 두배만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하이큐빅은 40피트랑 가로세로가 동일한데 높이가 좀 더 높게 많든 컨테이너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우선 컨테이너 크기를 알면 그 안에 얼만큼의 물건이 들어갈 수 있는지 알수 있을 것입니다. 약간의 정보조회만 해도 컨테이너의 크기 등 세부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조하시면 될거 같습.. 2019. 11. 29. 해상 컨테이너(Container) 화물의 운송형태 및 유통경로 안녕하세요. cusbro입니다. 해상 컨테이너 화물은 운송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형태로 구분이 되며, 각각 별도의 유통경로를 거쳐 수출입이 되고 있습니다. CY/CY (FCL/FCL, Door to Door)* CY/CFS (FCL/LCL, Door to Pier)** CFS/CY (LCL/FCL, Pier to Door)*** CFS/CFS (LCL/LCL, Pier to Pier)**** *수출상의 생산공장이나 창고에서 화물이 적재되어 수입상의 창고까지 컨테이너 만재화물을 그대로 운송하는 형태 **수출상의 생산공장이나 창고에서 화물을 만재화물 상태로 적입하여 목적지의 여러명의 수하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CFS에서 해체하여 인도하는 운송방식 ***선적항의 선박회사의 지정 CFS에서 다수의 송하인.. 2019. 11. 21. FCL화물(만재화물) LCL화물(혼적화물) 이란? FCL화물 LCL화물? 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데 정확하게 용어가 뭘 의미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꽤 되는거 같아요. 그래서 제가 오늘 정확하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컨테이너운송은 컨테이너라는 포장용구가 운송에 도입되면서 등장한 것으로 운송형태라기 보다는 운송관습으로 이해해야 하며, 주로 정기선해운 또는 복합운송으로 이행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의 등장은 1920년 미국 철도운송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2차 대전때 미군이 군수물품 운송에 이용 되었으며, 1956년 미국에서 최초로 상업화된 컨테이너선이 등장하게 됩니다. ■ 컨테이너 운송의 장단점 ▷ 컨테이너운송의 장점 - 선주 입장에서는 선적 및 하역이 용이하여 항만내 재항시간 단축되어 항비가 절감되며, 선박의 가동율이 높아져 선박생산성이 개선 됩니다... 2019. 11. 13.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교역에 관한 협약) 란? CITES” 란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란 영문의 약어로써,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을 말하며, 불법거래나 과도한 국제거래를 규제하여 서식지로부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1973년 워싱턴회의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우리나라는 1993.7.9 협약에 가입하여 1993.10.7 협약이 발효됩니다. “국제적멸종위기종” 이란 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의국제거래에관한협약(CITES)에 의하여 국제거래가 규제되는 부속서Ⅰ, Ⅱ, Ⅲ으로 규정된 규제대상종 중에서 야생생물보호및관리에관한법률 제2조에 의하여 지정된 것으로, 살아 있거나 죽었거나 쉽게 식별.. 2019. 10. 30. 이전 1 다음 반응형